이번 가이드는 스테이블코인으로 현재 APR 20% 이상을 챙기면서 KAIA 캠페인까지 참여할 수 있는, 여러 $KAIA 포털 캠페인 참여 방법 중 제 기준에서 가장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인 방법을 활용하여 가이드를 작성하였습니다
좀 더 하이리스크 + 더 큰 보상 (ex. 원금 손실을 조금씩은 각오하면서 파밍하는 방법) 등은 미래에 좀 더 다양한 선택지가 나오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자산 이동 루트 여러 루트 실험 이후 수수료가 가장 저렴하고 + 슬리피지가 제로에 가깝고 +손실을 거의 다 제거하여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선정하여 가이드를 작성하였습니다
카카오 + 네이버 라인의 재탄생, KAIA
이번에 카카오의 Klay + 네이버 라인의 Finschia가 합쳐지면서 KAIA 리브랜딩이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출처: https://www.theblock.co/post/313465/kakao-line-blockchain-mainnet-launches
이에 맞춰서 KAIA 재단에서 야심차게 준비한게 약 3달간 진행되는 KAIA 포털 역시 9월 말부터 가동 시작된 상태입니다.
이미지출처: KAIA 공식 미디엄 글
리브랜딩 내용도 재미있지만! 여튼 이번에 우리에게 중요한건
이번에 새롭게 리브랜딩하면서 마이그레이션 및 다양한 유저들이 참여해서 굉장히 사이즈가 큰 보상을 받아갈 수 있는 캠페인을 열었다!
정도로 정리가 될텐데
눈여겨 봐야하는 점은, 이번 KAIA 포털의 Epoch 총 보상이 최대 50,000,000 $KAIA로 현재 가격 (9월29일자 기준 0.14$)로 환산해도 약
7,000,000$로 한화 90억원 이상을 캠페인 보상으로 제공하는 대형 이벤트라는 부분

내용출처: KAIA 공식 미디엄 글
캠페인 보상 사이즈가 어마무시한 만큼 참여해서 챙겨갈 것이 굉장히 많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고,
추가로 현재 이를 참여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이미지출처: KAIA 공식 미디엄 글
개인적으로는
스테이블 코인들로 최소 이자를 +@로 받으면서 리스크를 최소화해서 $KAIA 캠페인 보상까지 챙겨가는 법
을 이번 가이드에서는 다뤄보려고 합니다.
전략이야 리스크 정도를 조금씩 높이면 정말 다양하게 많을텐데, 그건 리스크를 좋아하시는 분들을 위해 차후에 다뤄보도록 하고,
저는 리스크는 최소화하고, 스테이블 이자도 받으면서 $KAIA 보상도 노릴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기준 스테이블코인으로 23.79% APR로 $Klay 파밍을 하면서 추가로 $KAIA 포털의 포인트 파밍을 하는 방법을 저는 활용 중입니다.

추가로 KAIA 네트워크의 브릿지, 자산 이동 하는 방법 역시 정말 다양하게 있고 저 역시 대부분 다 테스트용으로 사용해보았는데
방법마다 슬리피지, 수수료 등이 차이가 꽤나 심해서 이것저것 다 사용해보고
가장 수수료가 저렴하고 + 슬리피지가 제로에 가깝고 +손실을 거의 다 제거하여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선정하여 가이드를 작성하였습니다
파밍하면서 얻을 수 있는 것들
- APR 20% +로 스테이블코인 파밍
- 추가로 KAIA 포털 포인트 및 미래 KAIA 캠페인 보상
현재 가이드에서 나온 파밍의 장점
- 슬리피지 및 수수료를 최소화해서 원금 깨질 걱정이 거의 없음
- 24/7 입금 및 출금이 언제든지 가능함
- 이자 역시 24/7 수령이 바로바로 가능함
KAIA A to Z 에어드랍 가이드 사전 작업
사전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진행할 경우 포인트가 반영 안됩니다. 꼭 필수!
1.사이트에 접속
링크: https://portal.kaia.io/mission?ref=4d4cfbe6
2. 뜨는 페이지 상단 Connect Wallet 클릭

3. Metamask 선택 (다른 지갑도 편하시면 쓰시면됩니다. 전 메타마스크가 편함)

4. 지갑 연결하면서 네트워크 전환 (Switch Network)화면 뜨면 전환까지

5. 메타마스크에서 승인 (Confirm) 클릭

6. 완료된 이후에 아래 화면 처럼 지갑 연결 + 얼리부스터 (1.2배) 불이 켜져있다면 사전 작업 모두 완료

KAIA A to Z 에어드랍 가이드 준비물
1.소액의 $KLAY/ KAIA (5$정도면 몇달 내내 써도 충분)
※리브랜딩이 완료된 거래소에서는 KAIA, 아닌 곳에서는 KLAY로 표기됨
2.소액의 $ETH (5$ 정도면 계속 써도 충분)
3.파밍용으로 사용할 USDT를 파밍 금액의 반
4.파밍용으로 사용할 USDC를 파밍 금액의 반
만큼 다 구매
ex) 5000$치 스테이블코인으로 이자도 받으면서 $KAIA 캠페인 파밍을 하고 싶다
-> 5$ 치 KLAY + 5$치 ETH + 2500 $USDT + 2500 $USDC 구매
왜 복잡하게 4 종류나 사? 라고 하실 수도 있지만, 이게 가장 싸고 슬리피지가 제일 적습니다. 자산 하나만 활용해서 들어가서 스왑하고 뭐하고 하면 자산이 큰 분들의 경우 1~5% 이상의 슬리피지 및 손실도 발생 가능.
가이드 대로하면 사실상 제로 슬리피지로 모두 진행 가능!
KAIA A to Z 에어드랍 가이드 준비물 지갑 전송
자 이제 구매한 자산들을 자신의 지갑으로 하나씩 옮겨봅시다!
1.메타마스크 지갑을 열고 자신의 주소를 복사

2.거래소에서 메타마스크로 지갑으로 구매한 $KLAY /$KAIA를 KLAY메인넷/ KAIA 메인넷으로 전송 (수수료 0.01$도 안듬)
예시) 바이낸스
1번- KLAY선택
2번- 복사한 메타마스크 주소 복붙
3번- Klatn 네트워크 선택
4번- 출금하고 싶은 KAIA/ Klaytn양 입력
5번- 출금 진행

3. 거래소에서 메타마스크로 지갑으로 구매한 수수료용 $ETH를 메타마스크 아비트럼 (Arbitrum)네트워크로 전송. [※수수료 0.1$ 정도 듬, 이더리움 EIP-4844 만만세]
예시) 바이낸스 이더리움출금
1번- ETH선택
2번- 복사한 메타마스크 주소 복붙
3번- Arbitrum네트워크 선택 (※중요! 다른 네트워크 가 아닌지 더블체크)
4번- 출금하고 싶은 수수료용 이더리움양 입력 (5~10$면 충분하고도 남음)
5번- 출금 진행

4. 거래소에서 메타마스크로 지갑으로 구매한 $USDT를 메타마스크 아비트럼 (Arbitrum)네트워크로 전송. [※수수료 0.1$ 정도 듬, 이더리움 EIP-4844 만만세]
예시) 바이낸스 USDT 출금
1번- USDT 선택
2번- 복사한 메타마스크 주소 복붙
3번- Arbitrum네트워크 선택 (※중요! 다른 네트워크 가 아닌지 더블체크)
4번- 출금하고 싶은 USDT 수량 입력
5번- 출금 진행

5. 거래소에서 메타마스크로 지갑으로 구매한 $USDC를 메타마스크 아비트럼 (Arbitrum)네트워크로 전송. [※수수료 0.1$ 정도 듬, 이더리움 EIP-4844 만만세]
예시) 바이낸스 USDC 출금
1번- USDC 선택
2번- 복사한 메타마스크 주소 복붙
3번- Arbitrum네트워크 선택 (※중요! 다른 네트워크 가 아닌지 더블체크)
4번- 출금하고 싶은 USDT 수량 입력
5번- 출금 진행

6. 스타게이트 사이트 접속, 상단의 Connect Wallet 클릭
링크: https://stargate.finance/bridge

7. 메타마스크 선택

8. USDT를 KAIA로 옮기기 위해, 메타마스크 연결 이후에 브릿지 세팅하기
1번- USDT — Arbitrum 설정
2번- USDT — KAIA 설정
3번- 옮길 USDT 수량 입력 (입금하신게 전부라면 MAX 누르셔도 됨)
4번- FAST 로 선택 (어짜피 가스비 0.02$이냐 0.05$이냐 차이니 빠른거 씁시다)
5번- 브릿지 전송 실행

9. 지갑에서 Approve, 그리고 Transfer 트잭이 다 뜰텐데 다 승인

10. 다음으로 이제 USDC 역시 KAIA로 옮겨봅시다
1번- USDC — Arbitrum 설정
2번- USDTC— KAIA 설정
3번- 옮길 USDC 수량 입력 (입금하신게 전부라면 MAX 누르셔도 됨)
4번- FAST 로 선택 (어짜피 가스비 0.02$이냐 0.05$이냐 차이니 빠른거 씁시다)
5번- 브릿지 전송 실행

11. 똑같이 지갑에서 Approve, 그리고 Transfer 트잭이 다 뜰텐데 다 승인

12. 완료하였으면 1분정도만 대기.
현재 여러분들의 KAIA, USDT, USDC 모두 위 과정들을 통해 메타마스크 KAIA 네트워크로 다 옮겨진 상태입니다.
자산은 준비 완료! 수수료도 가장 안들고, 슬리피지 따위는 하나도 없는 최고의 방법!
KAIA A to Z 에어드랍 가이드
자 그럼 이제 자산도 다 옮겼겠다 본격적으로 이자 파밍 + KAIA 포털 캠페인에 참여해서 꿀을 빨아봅시다.
1.다시 KAIA 포털 사이트 접속, 상단의 지갑 연결 클릭
링크: https://portal.kaia.io/mission?ref=4d4cfbe6

2. Metamask 로 다시 지갑 연결

3. 지갑 연결 이후에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보이는 KaiaSwap, USDT/ USDC에서 오른쪽 Deposit 클릭

4. 뜨게되는 사이트에서 Connect Wallet 클릭

5. 메타마스크 선택

6. 이제 화면이 요렇게 뜬 상태일텐데, 무시하시고 상단의 Farm 클릭

7. Farm에서 두 번째로 보이는 USDT/USDC.e 클릭, Add Liquidity 클릭

8. 양쪽 수량이 보유 잔고보다 초과되지 않게 All 클릭 (보통 USDC.e의 ALL 클릭 하시면됩니다), Add Liquidity 클릭

9. 지갑에서 승인 (Confirm 클릭)

10. 조금 기다리면 예치 완료
이제 글쓰는 시점 기준 23% APR로 스테이블코인으로 파밍을 하시면서 KAIA 포털 포인트 모두 하고 계신 상태!
11. 실시간으로 쌓이는 이자는 Farm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고 보상 역시 24/7 언제든지 수령이 가능합니다 (계속 쌓임)

12. KAIA 포털 포인트 역시 페이지에서 적립되기 시작하는 것이 확인 가능
링크: https://portal.kaia.io/mission?ref=4d4cfbe6

13. 이제 KAIA 캠페인에 참여하시면서 최대 5천만 $KAIA를 제공하는 캠페인 포인트 + 스테이블코인으로 달달하게 실시간 이자 모두 받고 있는 상태로 완료!!
출금하기 (24/7 가능)
당연히 하다가 그만하고 싶을 땐 출금을 해야되니 출금 가이드
1.이제 출금가보즈아 1번 Farm 다시 클릭, 2번 창 확장 클릭, 3번 Unstake 클릭 이후 트잭 쏘기

2. 조금 기다린 이후에 상단의 Pools 클릭, Manage Liqudity 버튼 클릭

3. 예치하였던 USDT/ USDC.e 상품에 Remove 버튼 클릭

4. 뜨게되는 창에서 100%로 설정 이후 Remove 클릭

5. 이제 모든 자산이 내 지갑으로 돌아온 상태
6. 스타게이트 파이낸스로 다시 접속
링크:https://stargate.finance/bridge
7. 이번에는 반대로
1번 — USDC.E -KAIA 설정
2번-USDC, Arbitrum 설정
출금할 USDC 양 입력 후 3번 출금
이를 USDT에도 똑같이 반복 수행

8. 아비트럼 체인 추가를 할 줄 모르시는 분들의 경우 체인리스트 접속
링크:https://chainlist.org/chain/42161
9. 들어간 페이지에서 Add to Metamask 클릭 이후 지갑에서 네트워크 추가

10. 이제 메타마스크 창 키면 아비트럼 네트워크 추가 완료된게 확인 가능


11. 아비트럼 네트워크에서 아래 처럼 Import Token 창이 뜨게 됨 클릭

12. USDT와 USDC 모두 체크 이후에 Import 클릭

13. 이제 메타마스크에 아비트럼 USDT, USDC가 모두 보임

14. Send 클릭 이후에 내 거래소 지갑 (Arbitrum USDT, USDC 받기 주소)로 송금


15. 거래소에서 현금화 끄읕!
가이드를 정확히 따라하셨다면 20%+ APR로 이자 + KAIA 포털 포인트를 모두 동시에 쌓고 있으신 상태가 되셨습니다!
열심히 파밍을 해봅시다.
여러 방법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요 루트가 가장 들어가는 돈 대비 최대 효율이 나오는 방법으로 보입니다.
추가적인 리스크를 지면서 파밍하는 방법등은 둘러보시면서 적용해보시고, 괜찮아 보이는 것은 저 역시 추후에 공유 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질문등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비큐 텔레그램 공지방: https://t.me/BQTelegram
비큐 텔레그램 소통방: https://t.me/BQKoreaChat
에서 질문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