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드랍 가이드 읽기 전…
현재는 출시한지 한달도 안되었기에 굉장히 초기 단계라 비교적 간단하게 모든게 진행 가능합니다.
미래에 추가로 lvUSD 출시, 그리고 이를 통한 나오게 될 추가 전략들은 가이드를 업데이트하고 텔레방에서도 업데이트 해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단은 선점하고 나오는대로!
초기 예치 유저들이 Beta 버전에 선진입, LvUSD를 AVS 수익을 받으면서 디파이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기에 일단 먼저 선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짧은 인트로 + 배경 설명
Eigen Layer가 8월 14일에 대형 업데이트 소식을 알렸습니다.

출처: https://www.blog.eigenlayer.xyz/permissionless-token-support/
쉽게 이야기해서 AVS (Eigen Layer의 자산을 활용하여 운영되는 디앱/ 체인들)이 이더가 아니더라도 모든 형태의 ERC-20 토큰을 리스테이킹하여 보안을 활용할 수 있다는 내용!
여튼 개인적으로는 Eigen Layer의 다음 미래를 보여주는 가장 거대한 업데이트였다고 봐서 텔방에서도 다루었는데
여튼 이걸 보고나면 우리가 고민해봐야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다음 리스테이킹 붐은 다 어디로 갈 것인가?
이제 솔라나, BNB 리스테이킹 등에 대한 내용이 나오고 사람들의 시선 역시 하나씩 그쪽으로 쏠리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물론 솔라나, BNB 리스테이킹도 재미있는 영역이고 저 역시 참전을 할 생각이지만, 그런 생각해본적 없으신가요?
USDT나 USDC를 리스테이킹할 수 있으면 그게 최강자 아니야?
스테이블코인의 시총 합은 현재 $171.2b으로

출처: https://defillama.com/stablecoins
자그마치 솔라나와 BNB 시총의 2배 이상의 시총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출처: Coinmarketcap
간단하게 요점만 정리하자면 그렇기에,
ERC-20 형태의 스테이블코인을 리스테이킹으로 보안에 활용하면 그게 이더리움 다음으로 가장 큰 규모의 리스테이킹 시장이 될 수 있다.
근데 중요한건
아직 이걸 시도하는 프로젝트가 전혀 없었다는 부분!
근데 최근에 Level이라는 프로젝트가 lvlUSD를 통한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을 위해 새롭게 탄생하였고


리스테이킹 시장에서는 어떻게 보자면 이더리움 리스테이킹 뒤에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진 프로젝트라고 보았기에 이번에 에어드랍 가이드를 작성!
모든 사람들의 시선이 이더리움 다음, 이제 솔라나, BNB 리스테이킹쪽으로 쏠리기 시작할 때 Level의 lvlUSD는어쩌면 다크호스처럼 나타나서 가장 예상치 못한 성장세를 보여줄 수 있는 프로젝트가 아닐까?
꿀이라고 생각하는 이유/ 기대되는 이유
★★★1. 일단 투자 자체가 그야말로 흔들리지 않는 편안함 그 자체

출처: https://x.com/levelusd/status/1829135617621365116
이번에 첫 투자 라운드를 드래곤플라이, 그리고 폴리체인 코리드로 투자를 받았음.
심지어 엔젤리스트에 Balaji, 전 코인베이스 CTO, a16z 파트너가 들어가있음.
스테이블코인의 미래를 예전부터 외쳐왔던 Balaji가 투자한 프로젝트라는건 분명히 의미가 있는 엔젤투자라고 생각됨.
여튼 전반적으로 안전 수표라고 불리는 Dragonfly의 코리드등 투자자 라인업이 확실히 안심하고 다가갈 수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임.
첫 투자 라운드이기에 라운드는 명시 안하였지만 시드 라운드가 아닐까 싶음.
★★★2. 기본적으로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 시장의 잠재력은 말도안되게 크다
올해 가장 크게 성장한 섹터가 어디냐라고 한다면,
두말할 것도 없이 스.테.이.블.코.인 이라고 외칠 것 같다.
이미 스테이블코인 시총은 ATH에 도달한 상태이고

출처: https://www.theblock.co/data/stablecoins/usd-pegged/total-stablecoin-supply
수 많은 이자를 지급하는 스테이블코인들 역시 굉장히 많이 나오고 있다.
ex) Ondo USDY, Ethena USDE, Usual USD0 등등
근데 이 스테이블코인의 가장 큰 불해소 영역 중 하나는
‘가치 교환, 단순한 미 채권 수익 분배 이외의 메커니즘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근데 이 스테이블코인을 리스테이킹에 활용해서 AVS 수익을 받을 수 있다면?
170b$이 넘는 달러 자산이 실제로 Eigen Layer에서 활용되면서 유저들이 이를 리스테이킹하고 수익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면?
그 잠재력 자체는 개인적으로는 말도 안되는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반대로 잠재력 대비 굉장히 신규 영역이라 평가 자체는 저평가 상태이다. 한번 노려볼만하자나?
★★★★★ 3. 금리 인하, 미채권 수익이 감소하면 스테이블코인 수익을 쫓던 자들은?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은 미래가 밝다

출처: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58754.html
아마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2024년 9월 드디어 금리 인하가 시작되었다.
자산 상승이고 하락이고를 떠나서 여기서 우리가 확실히 알 수 있는 내용이 한개 있는데, 그건
미 채권 수익도 감소할 것이고, 이를 분배하는 스테이블코인들 역시 수익이 감소할 수 밖에 없다
지금에야 뭐 USDY만 해도 6% 가량의 이자를 지급하고, 다양한 미채권 수익 분배 스테이블코인들도 5~6% 이자를 지급해줄 수 있지
막말로 금리 내려가면 누가 5~6%의 안정적인 이자를 줄 수 있는가?
미채권 수익이 그만큼 안나오는데 어떻게?
반대로 Level 프로젝트의 lvUSD는 미채권 수익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 -> AVS 프로젝트들 (Eigen 위에 온보딩 되는 앱들) 토큰 분배
오히려 크립토 시장 성장, 그리고 Eigen Layer의 미래 성장에 베팅을 하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다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조심스레 예측하는건, 뭐가 되었든 미채권 수익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스테이블코인 이율에 중독되었던 사람들은
반대로 이 스테이블코인으로 다른 어떤 수익을 만들 수 있지?로 눈이 돌아가게 될 것이고
그 종착지의 가장 강력한 후보 중 하나가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이 될 것이다라는 예상이다.
★★★★4. 리스크가 제로에 가깝다, 굳이 따지자면 달러 환율?
리스테이킹에 자산을 예치한 사람들은 모두 리스크 및 가격 변동성의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셨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더리움 리스테이킹을 하면 당연히 이더리움 가격에 민감해질 수 밖에 없다.
난 그냥 +@ 수익 올리려고 리스테이킹한건데 어느 순간 이더리움 차트를 계속해서 확인하는 자신을 확인하게 되는게 대부분의 경우.

하지만 Level의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은 당연한말이지만 달러 리스테이킹이기에 그런 변동성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발행되는 자산 역시 스테이블코인 담보로 나오는 달러 패깅 lvlUSD이기에 굳이 한국인으로서 신경을 쓰자면 환율 정도…?

★★★★ 5. 24/7 출금 및 입금이 가능하다
개인적으로는 락업이 있는 프로젝트들은 크게 참여를 안하는 편이다.
저어엉말 꿀이 아닌 이상 자산이 묶인다는건 결국 기회비용이고 이를 상쇄할만큼의 무언가 나오지 않으면 내 입장에서는 손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Level은 단순 스테이블코인 예치인데도 언제든지 입출금이 마음대로 가능하다!

돈이 묶일 걱정도 없고
급하게 써야할 일이 있다면 파밍하다가 언제든지 출금 가능!
★★★★★ 6. 초기 선점이 가능하다. 출시한지 얼마 안됨
LevelUSD의 경우 8월말에 첫 유저 런칭을 시작하였고

투자 소식 역시 8월 29일에 공개가 된 상태이다

쉽게 이야기해서 현재 이 글을 작성하는 9월 중순,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가동된지 한달도 안된 상태라는 이야기!
그만큼 아직 안알려져있고, 초기 유저로서 먼저 자리를 잡고 확실히 어드벤티지를 챙겨갈 수 있다.
프로젝트 Level이란?
✔️ Level은 뭐고 LvUSD는 뭐야?
🔘Dragonfly, Polychain 그리고 Balaji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쉽게 이야기해서 USDT, USDC를 스테이킹하고, lvUSD를 발행
🔘그리고 스테이킹된 USDT, USDC는 Eigen Layer의 AVS 리스테이킹 자산으로 활용됨
🔘유저는 스테이킹한 자산을 통해서 lvUSD를 받고 이를 디파이에 활용, 또한 스테이킹한 자산들은 AVS 보상을 지급함

내용출처: https://level-money.gitbook.io/docs/level-usd/level-usd-a-new-primitive
좀 더 자세한 내용은 DOC을 꼭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너무나도 설레는 비전과 내용들
Level 에어드랍 가이드 A to Z 준비물예치하고 싶은 만큼의 USDT (이더리움 메인넷을 이용하기에 1,000$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수수료 아까우니깐) 소액의 ETH 가스비 메타마스크 지갑
Level 에어드랍 가이드 A to Z
- 메타마스크 지갑을 열고 자신의 주소를 복사

2. 거래소에서 포인트작 하고 싶은만큼의 USDT를 구매
※이더리움 메인넷이기에 1,000 USDT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어짜피 스테이블코인인데! 굉장히 소액으로 맛만 보면서 수수료 내면 솔직히 아깝잖아요?
3. 거래소에서 메타마스크로 지갑으로 구매한 USDT를 메타마스크 이더리움 메인넷으로로 전송.
예시) 바이낸스
1번- USDT 선택
2번- 복사한 메타마스크 주소 복붙
3번- ETH (ERC20) 선택
4번- 출금하고 싶은 USDT양 입력
5번- 출금 진행

4. 메타마스크에서 Import Token 클릭

5. USDT를 지갑에서 볼 수 있게 추가

1번- Search (검색) 선택
2번- USDT 검색
3번- USDT 선택
4번- Next 클릭 및 추가
6. 이제 메타마스크에서 USDT 수량이 확인 가능함

7. Level 파밍 사이트 접속
링크: https://www.level.money/referrals/claim?referralCode=ebibj1
8. 사이트에서 Sign In 클릭

9. 메타마스크 선택

10. 지갑 연결 완료하기

11. Sign in 클릭

- 이메일 주소 입력, Continue 클릭

13. 뜨게되는 페이지에서 Return to Dashboard 클릭

14. DEPOSIT 버튼 클릭

15. 예치할 USDT 수량 입력, Approve & Deposit USDT 클릭

16. 뜨게되는 메타마스크 창에서 NEXT (다음) 클릭

- Approve (승인) 클릭해서 트잭 쏘기

18. 30초 정도 대기 (스트레칭 합시다)
19. 완료되면 굿 혹시 Approve만 되셨다면 이제 Deposit 버튼이 나오니 똑같이 수량 입력, Deposit 클릭

20. 지갑에서 승인 (Confirm) 클릭

21. 이제 기다리면 예치된 금액과 포인트가 실시간으로 쌓이는 것이 확인 가능

22. 끄읕!! 간단합니다
이제 여기에서 미래에 lvUSD와 베타버전에 들어가신 분들의 경우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추가 디파이 수익도 노려볼 수 있을텐데
요건 나오는 대로 가이드를 업데이트 해놓겠습니다!
Level 에어드랍 가이드 A to Z (출금편)
진짜 간단해서 어려울게 없음!
1.똑같은 페이지에서 Withdraw 클릭, 금액 입력, 그리고 Withdraw USDT 클릭

2. 뜨는 메타마스크 창에서 트잭 승인

3. 조금 기다리면 (30초) 출금 끝남. 메타마스크에서 USDT 잔고 확인 가능

4. USDT 클릭 이후 다시 거래소로 송금해서 현금화 끄읕
이제 그냥 매일 매일 체크만하면서 포인트 쌓이는거 확인하시고!추가로 이제 곧 오픈되는 Beta테스팅에도 예치 유저들은 선점해서 참가가 가능하기에 그때 또 참가를!
개인적으로는 금리 인하 =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 메타는 거의 확정적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그렇기에 Level의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은 포텐이 굉장히 크다고 생각하기에 한번 걸어볼 생각으로 꾸준히 파밍 중!진짜 리스테이킹 메타의 꽃은 스테이블코인 리스테이킹이었음을 세상이 알게 되기를
혹시나 질문등이 있으시다면 편하게비큐 텔레그램 공지방: https://t.me/BQTelegram
비큐 텔레그램 소통방: https://t.me/BQKoreaChat
에서 질문해주세요!※추가 업데이트 내용들은 비큐 텔레그램에서 가장 먼저 빠르게 공지를 드리고 홈페이지 가이드를 계속해서 업데이트 해놓도록 하겠습니다**

